"탈원전 안해, 원전 지속사용"

Jul 15, 2025 IDOPRESS

김성환 환경장관 후보자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를 통해 '탈원전' 정책을 추진하지 않겠다고 못박았다. 석탄과 석유,액화천연가스(LNG) 등 화석연료 사용량을 최대한으로 줄이는 탈탄소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와 원전을 균형 있게 활용해야 한다는 점에서다.


15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김 후보자는 "탄소 사회로의 전환이 굉장히 중요한 숙제"라며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줄이고 원전의 안전성을 높이면서 둘을 적정하게 섞는 것이 앞으로의 에너지 정책이 돼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이날 청문회에서 야당 의원들은 과거 김 후보자가 탈원전 정책에 앞장서 왔다는 점을 집중 지적했다. 특히 과거 문재인 정부 때 김 후보자가 서울 노원구청장을 지내며 '탈원전이 대세'라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혔다는 점을 부각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당시는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세계가 깜짝 놀랐을 때"라며 "최근에 제가 탈원전을 주장한 적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 후보자는 "문재인 정부 때는 설계수명이 다 된 원전은 (운영을) 중단했지만,이재명 정부는 안전성이 담보된다면 (설계수명을 다한 원전도) 계속 운전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기후·에너지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기후에너지부' 신설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장관이 된다면 기후에너지부 논의는 가장 우선해서 해야 할 일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했던 기후대응댐 사업에 대한 재검토 의지도 드러냈다. 그는 "꼭 필요한 것만 추진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양해를 구해서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후대응댐은 환경부가 홍수·가뭄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해부터 추진해 온 사업이다.


[유준호 기자]


AI 추천 질문Beta

탈탄소 사회 전환이 에너지 정책에 미칠 영향은?

재생에너지와 원전 병행 정책 추진 배경은?

검색

기술, 인공 지능, 에너지 등의 영역에서 최첨단 뉴스를위한 최고의 소스. Arinstar와의 기술의 미래를 탐구하십시오! 정보를 유지하고 영감을 유지하십시오!

빠른 탐색

우리의 선별 된 콘텐츠를 탐색하고, 획기적인 혁신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고, 과학과 기술의 미래로의 여행.

© 한국의 신기술

개인 정보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