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짜 에너지社 'SK E&S' 껍데기 회사 될 판

Jul 8, 2025 IDOPRESS

SK이노에 합병 1년도 안 돼


도시가스·LNG 등 핵심사업


자산 유동화 리스트에 올라


조직 독립성이 핵심이라던


CIC 명분 사라져 내부 동요


3조 조달자금 상환도 불확실

SK그룹 내 대표적 알짜 에너지 자회사로 안정적으로 사업을 영위해온 SK이노베이션 E&S가 SK이노베이션에 흡수 합병된 지 1년도 안돼 공중분해 위기에 처했다. 사업의 자율성과 조직의 독립성을 핵심으로 한 사내독립기업(CIC) 합병이라 공표했던 1년 전 약속이 무색할 정도로 핵심 사업들이 자산 유동화 및 매각 대상으로 이름이 오르내리며 조직 안팎의 불안감이 제기되고 있다.


8일 재계에 따르면 매년 수천억 원 영업이익을 내며 그룹 배당의 주축을 맡아온 SK이노베이션 E&S의 도시가스,액화천연가스(LNG) 밸류체인 등 주요 사업이 모회사인 SK이노베이션의 리밸런싱(구조조정) 충격파에 흔들리는 양상이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7월 에너지 계열사 간 시너지와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내세우며 SK E&S와의 합병을 공식 발표했다. 하지만 합병 발표 1년도 안돼 SK E&S부문의 핵심 사업인 LNG 발전소 밸류체인 전반이 유동화 대상으로 묶이며,최대 5조원 규모의 자금 조달이 추진되고 있다. 여기에는 연간 6000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내는 발전 자회사들이 포함됐다. 이에 더해 SK이노베이션 E&S는 최근 LNG 밸류체인의 중추이자 가교 역할을 하는 충남 보령 LNG 터미널 지분을 담보로 한 자산 유동화 작업도 추진 중이다.


기존 SK E&S가 SK이노베이션과 합병 이전에 도시가스 사업 부문을 담보로 글로벌 사모펀드 골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로부터 조달한 약 3조원 규모의 상환전환우선주(RCPS)도 발목을 잡고 있다. 해당 RCPS는 2026년 말에 만기가 도래할 예정으로 현금으로 상환하거나 대물 변제가 가능하다. 현재 SK이노베이션 E&S 안팎에서 3조원이 넘는 RCPS에 대한 현금 상환이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또한 SK이노베이션 E&S는 도시가스 계열사 전체를 별도 중간 지주사를 거쳐 손자회사로 묶어 관리 중이다. 이 역시 사업 매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순이란 해석도 나오고 있다. SK이노베이션 E&S는 도시가스 계열사의 알짜 부동산인 대치동 코원에너지 용지 역시 5000억원 안팎의 가격에 매각을 진행 중이다. 결국 실제로 현금 상환이 어려울 경우 7개 도시가스 자회사가 현물로 상환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SK이노베이션 E&S 관계자는 "아직 만기가 도래하지 않은 사안으로 KKR과 지속적으로 해당 내용에 대해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결국 관건은 SK이노베이션이 추진 중인 리밸런싱이 실질적 성과를 낼 수 있는지에 달렸다는 분석이다. SK이노베이션 E&S의 한 구성원은 "당초 우려했던 것 이상으로 회사의 핵심 경쟁력이 사라지고 있다"며 "담보 형태의 자산 유동화가 추후 사업 매각으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며 내부 동요가 심하다"고 전했다.


[추동훈 기자]


AI 추천 질문Beta

SK이노베이션의 대규모 사업 구조조정 추진 배경은?

에너지 계열사 자산 유동화가 그룹 재무구조에 미칠 영향은?

검색

기술, 인공 지능, 에너지 등의 영역에서 최첨단 뉴스를위한 최고의 소스. Arinstar와의 기술의 미래를 탐구하십시오! 정보를 유지하고 영감을 유지하십시오!

빠른 탐색

우리의 선별 된 콘텐츠를 탐색하고, 획기적인 혁신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고, 과학과 기술의 미래로의 여행.

© 한국의 신기술

개인 정보 정책